개발하는 냥이 (=ↀωↀ=)

고정 헤더 영역

글 제목

메뉴 레이어

개발하는 냥이 (=ↀωↀ=)

메뉴 리스트

  • 홈
  • 태그
  • 미디어로그
  • 위치로그
  • 방명록
  • 분류 전체보기 (159)
    • 개발 (148)
      • Android (9)
      • CSS (0)
      • DB (3)
      • HTML (0)
      • Java (53)
      • JavaScript (79)
      • NodeJS (0)
      • Python (0)
      • React (1)
      • iOS (2)
      • Visual C++ (1)
    • Tools (9)
    • MAC (2)

검색 레이어

개발하는 냥이 (=ↀωↀ=)

검색 영역

컨텐츠 검색

분류 전체보기

  • JavaScript - 엘리먼트의 속성 추가하기 2 (setAttribute)

    2020.06.03 by 뉴에이스

  • JavaScript - 엘리먼트의 속성 추가하기 1

    2020.06.03 by 뉴에이스

  • React - 인텔리제이로 리액트 프로젝트 만들기

    2020.06.03 by 뉴에이스

  • 비주얼 스튜디오 코드 확장프로그램(Extensions) 추천

    2020.06.01 by 뉴에이스

  • 스프링 프로젝트에서 Swagger설정하기

    2020.05.28 by 뉴에이스

  • 생성된 프로젝트를 git에 올리기

    2020.05.27 by 뉴에이스

  • STS 스프링 프로젝트 만들기

    2020.05.27 by 뉴에이스

  • Eclipse, STS에서 Quick Search 설치하기(퀵서치) - 강추!

    2020.05.27 by 뉴에이스

JavaScript - 엘리먼트의 속성 추가하기 2 (setAttribute)

Dom API를 활용한 속성 추가하기 setAttribute("키", 벨류) 소스 추가 결과

개발/JavaScript 2020. 6. 3. 16:35

JavaScript - 엘리먼트의 속성 추가하기 1

객체.속성명 = 값 사용자 정의속성은 추가되지 않는다. 소스 추가 결과

개발/JavaScript 2020. 6. 3. 16:12

React - 인텔리제이로 리액트 프로젝트 만들기

* React 사용에 앞서 NodeJS가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. 설치는 https://nodejs.org/en 에서 안정적인 LTS 버전으로 설치하자. 1. New Project - JavaScript - React App - Next 2. 프로젝트명과 경로 입력 후 Next (소문자만 가능하며, 숫자 및 하이픈이 있을 경우오류를 띄운다. 전에는 됐었는데....) 알파벳만 입력해서 프로젝트를 만든다! 프로젝트 경로에 해당하는 폴더가 없을 경우 자동으로 생성해준다. 3. 프로젝트가 생성되면 디버그콘솔창에서 리액트 프로젝트가 생성되는것을 볼 수 있다 (은근 오래걸린다) 4. 콘솔창에 Done 이 뜨면 완료! 5. 프로젝트 실행은 우측 상단에 npm start 옆 재생 버튼을 누르거나, 터미널창에서 npm r..

개발/React 2020. 6. 3. 13:27

비주얼 스튜디오 코드 확장프로그램(Extensions) 추천

Active File In StatusBar : 현재 작업중인 파일의 경로를 상태표시줄에 출력 Auto Close Tag : 시작태그명을 입력하면 닫는태그를 자동으로 입력 Auto Rename Tag : 시작태그명을 바꾸면 닫는태그명도 자동으로 변경 Bracket Pair Colorizer : 짝이 되는 괄호끼리 색맞춤 Code Spell Checker : camelCase 코드의 맞춤법 체크 Color Highlight : RGB 색상코드표 테두리에 색상 표시 Eclipse Keymap : 이클립스 단축키로 설정. 단축키 정보는 gitHub 참조 (https://github.com/alphabotsec/vscode-eclipse-keybindings/blob/master/package.json) Gui..

Tools 2020. 6. 1. 13:27

스프링 프로젝트에서 Swagger설정하기

1. pom.xml에 swagger 추가 * https://mvnrepository.com/ 에서 최신버전 확인 2. SwaggerConfig설정 클래스 생성 후 @Configuration , @EnableSwagger2 붙여주고 Swagger-ui로 보여질 내용 설정 3. Controller와 VO 클래스 생성 * VO 클래스에는 @XmlRootElement, @XmlAccessorType 어노테이션 설정 * VO 클래스에 @Data 어노테이션으로 getter/setter 사용 설정 (Lombok 사용시 dependency 추가 설정 필요) * DB 설정이 안되있어서 컨트롤러에서는 return null로 해둠 4. 프로젝트 우클릭 - Run As - Spring Boot App. (단축키 Alt + S..

Tools 2020. 5. 28. 15:08

생성된 프로젝트를 git에 올리기

1. git 설치 - 다운로드는 https://git-scm.com/download/win 2. github 기준으로 New Repository 생성 생성하면 github에서 친절하게 push 까지 하는 명령어들을 보여줌 3. git 설치 후 생성된 Git Bash 나 윈도우에 cmd를 실행 4. cd "프로젝트경로" 로 이동 후 위 git 명령어들을 순서대로 실행 (git init 부터 git push 까지) * 모든 파일을 올릴때에는 git add . 만 입력하면 됨 (README.md 파일이 없을 경우 위에 따라 하면 파일이 없어서 오류) * git init 시 "fatal: not a git repository (or any of the parent directories): .git" 이런 오류가..

Tools 2020. 5. 27. 17:10

STS 스프링 프로젝트 만들기

* STS 4버전으로 진행 1. New - Spring Starter Project 생성 2. Type에서 Maven / Gradle 선택 후 진행 3. Dependencies 추가 (사용자 정의) * Spring Boot DevTools 는 체크 4. Bulid Path - Order and Export 에서 순서 변경 (사용자 정의) 5. 생성된 프로젝트! 6. 프로젝트 실행 확인을 위해 Application 클래스에 @RestController 붙여주고 @RequestMapping을 붙인 메서드를 하나 추가 7. 프로젝트 우클릭 Run as - Spring Boot App 8. 기본 포트는 8080으로 localhost:8080 으로 접속하면 확인가능 포트 변경시에는 resources 에 있는 ap..

Tools 2020. 5. 27. 15:08

Eclipse, STS에서 Quick Search 설치하기(퀵서치) - 강추!

1. Help - Install New Software 진입 2. 아래 URL 입력 후 Quick Search 체크 후 설치 http://dist.springsource.com/release/TOOLS/eclipse-integration-commons/ 또는 http://dist.springsource.com/release/TOOLS/update/e4.3/ 를 입력하고 Quicksearch 체크 후 진행 덧) 맥에서는 아래 링크로만 설치 가능 3. 설치 후 Ctrl + Shift + L 키를 누르면 Quick Search 사용 가능! 첫번째 링크로 다운로드 하면 검색창을 항상 띄우기 옵션이 있음

Tools 2020. 5. 27. 10:06

추가 정보

인기글

최신글

페이징

이전
1 ··· 4 5 6 7 8 9 10 ··· 20
다음
개발하는 냥이 (=ↀωↀ=) 오류 코드는 제보 바랍니다.

티스토리툴바